Surprise Me!

[앵커리포트] 유해성 확인 안 됐지만 마시면 안 된다?...'수돗물 유충' Q&A / YTN

2020-07-17 13 Dailymotion

인천에 이어 시흥과 화성 등 경기 곳곳에서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, 애벌레가 나온다는 신고가 접수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내용 짚어봅니다. <br /> <br />'깔따구', 이름도 생소하죠. <br /> <br />강가를 따라 자전거를 타거나 물웅덩이가 있는 곳에서 산책하다 보면 날벌레가 종종 떼 지어서 불편을 주기도 하죠, <br /> <br />이걸 날파리나 하루살이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, 상당수는 깔따구입니다. <br /> <br />모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, 사람을 물지는 않고, 다만 닿으면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이번에 이 깔따구가 수돗물에서 나온 건 아니고, 깔따구 유충이 나온 겁니다. <br /> <br />실지렁이와 비슷한 모양인데요. <br /> <br />이 유충은 약품 처리를 거친 뒤 농업이나 공업용수로 쓸 수 있는 4급수에서 주로 삽니다. <br /> <br />물 바닥에 섞인 유기물을 먹고 살기에, 먹잇감인 오염물질이 많은 더러운 물을 선호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 측은 고도정수처리시설인 활성탄 여과지에서 유충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요즘 같이 더운 여름철에 여과지 세척을 자주, 그리고 강한 압력으로 제대로 하지 않으면 활성탄 표면에 미생물이 붙었거나 탄과 탄 사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는데요, <br /> <br />여과지에서 각 가정집까지 이동 과정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수도꼭지나 저수조에 깔따구가 알을 낳는 등 외부 유입 가능성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구자용 /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(대한상하수도학회장) : 활성탄 여과지라는 데가 생물이 살 수 있는 곳이에요. 미생물의 역할에 의해서 어떤 오염된 물질들, 특히 맛·냄새 물질을 제거하는 데 상당한 탁월한 효과가 있어서 고도 정수 처리에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. 못하는 건 아니고 비용이 더 드는 건데 생물 활성탄 후단에 또 여과장치를 달면 그런 일은 절대로 벌어질 수 없는 거죠.] <br /> <br />몸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? <br /> <br />일부 기생충 종류를 제외하면 유충 자체는 뱃속에 들어가면 위산에 녹아 소화돼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건 물에 유충만 있을 경우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수돗물에 다른 오염 물질이 있을 수 있어서 마시는 건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염형철 /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이사장 : 깔따구(유충)까지 나올 정도면 다른 형태의 오염이 돼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식수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야 될 테고. 그래서 인천시에서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71713000510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